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필요한 정보

12호 태풍 무이파 13호 므르복 14호 난마돌 우리나라영향, 지하주차장 대피 요령 기준/ 에어포켓

by 우당탕탕랄라 2022. 9. 13.
반응형

힌남노가 지나간 뒤 방생한 태풍에 대한 관심이 높았는데요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의 피해가 컷기에 긴장을 늦출 수 없는 것입니다. 12호 태풍 무이파는 중국으로 향할 전망이고, 13호 태풍 므르복은 일본 동쪽 먼 해상으로 진출할 것으로 보여 우리나라의 큰 영향은 없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14호 대풍 난마돌이 연이여 발생해 우리나라 주변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에 더욱 주목을 받고 가장 피해가 컷던 지하주차장 대피 요령 기준을 나라에서도 발표했는데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

  • 태풍 현재 위치
  • 태풍 지하주차장 대피요령
  • 지하주차장 계단으로 대피 할 때는?
  • 태풍 및 침수 예방을 위한 지하주차장 차수벽 설치 기준은?
  • 지하주차장에 물이 들어 찻을 때 에어포켓이란?

 

 

태풍 현재 위치

 

12호 태풍 무이파는 현재 중국 연안을 따라 북상할 것으로 보이며 14일까지 전국에 비가 내릴 전망이며, 다만 폭우나 강풍 등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다만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제주도 남해안, 서해안 중심으로 비가 내리겠고 파도가 우려된다고 하네요. 13호 태풍 므르복은 일본 동족에서 북상하여 국내와는 무관할 것이며 14호 태풍 난마돌은 우리나라를 지나갈 것으로 관측하기도 하는데 아직 열대저압부가 태풍으로 발달하지 않아 그 경로는 매우 유동적이라고 합니다. 

 

태풍 발생 시 지하주차장 대피 요령 

 

워낙 순식간에 물이 차는 지하주차장 , 기존 매뉴얼에는 침수 도보 지하차도 교량 등에서 차량통행을 금지한다고만 포함되어 있었다면 12일 발표한 지하주차장 대피 기준에는 

 

물이 조금만 차오를 경우 차량을 두고 즉기 대피하라, 주차장으로 빗물이 유입될 경우 관리사무소장 등이 차량이동을 금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지하주차장 계단으로 대피할 때는?

 

1. 난간을 잡고 이동하라

2. 바닥이 미끄러울 수 있으니 운동화가 안전합니다(만약 운동화가 아니라면 맨발로 움직이시는게 안전합니다)

3. 어린이와 노약자는 발목 높이, 성인은 정강이 높이로 물이 유입 될 시 계단으로 올라 가기는 어려울 수 있는점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태풍이 올 땐 외출을 삼가해야 한다고 하는데, 물이 갑작스럽게 차오른다면 건장한 성인도 버틸 수 없는 위력을 자아내므로그 순간 할 수 있는것은 대피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태풍 및 침수예방을 위한 지하주차장 차수벽 설치 기준은?

 

현행법은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에만 지하시설의 침수대비를 세우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파트는 50층 미만인만큼 법을 개정 해 차수벽 설치를 제도화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이제는 태풍이 우리나라의 영향을 많이 주는만큼 물막이 설비, 배수펌프 배수구 용량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하며 지하주차장에 물이 찬다면 차량을 두고 즉시 대피해야 하는 요령도 생활속에서 노 출을 시켜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지하주차장에 물이 들어 찻을 때 에어포켓이란?

 

힌남노로 인해 포항주차장에서 2명이 생환하였을 때 숨 쉴 수 있는 에어포켓 공간이 있었기 때문인데요 에어포켓은 물이 찬 공간위에 공기가 모여 있는 공기 주머니로써, 바다에서 배가 급하게 전복 됐을 때 물 속에서 어항을 거꾸로 뒤집었을 때 끝까지 물이 차오르는게 아니라 윗 부분에 빈공간이 생기게 되며 이 공간이 에어포켓입니다. 이 공간을 찾는것이 중요하며 

아파트를 지을 때도 이러한 공간이 있는 것도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태풍이 지나가는 것을 보면서 나에게 일어날까?하는 일들이 크게 혹은 작게 생기면서 나는 아니겠지란 생각은 버리게 되었고 자연재해로 인한 대피요령은 알고 있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은 태풍으로 인한 지하주차장 대피 요령과 에어포켓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 봤구요 장마 보다 더 심했던 태풍의 피해 앞으로 없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